미네소타 트윈스 소개와 양현종 선발 진입 가능성 # 미네소타 지역지에서 미네소타 트윈스가 양현종 포스팅에서 단독협상권을 따냈다는 것을 보도했습니다. 아직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아 타이거즈가 금액을 억셉하고 양현종 측과 트윈스 측이 연봉 협상을 마치면 양현종은 미네소타 트윈스로 옮겨집니다. 트윈스라는 익숙한 이름을 가진 이 팀은 어떤 팀일까요? 그리고 양현종은 이 팀에서 충분한 기회를 얻을 수 있을까요? 전체적인 구단 환경은 중하위권. 김광현보다는 당연히 나쁘지만 윤석민보다는 낫습니다. 하지만 선발 진입 가능성은, 메이저리그 30개 구단중 제일 높은 팀입니다. 그만큼 선발진 상태가 최악인 팀입니다. (기사 영문 내용 요약 : 지역지에서 트윈스가 양현종 협상권을 따냈음을 보도했다. 입찰액이 얼마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기아 타이거스가 원하는 수준.. 더보기 11월 빌보드 Rock 정리 - Foo Fighters, U2, Imagine Dragons, Slipknot # 11월 5주, 11월 29일 순위입니다. 빌보드 기준으로 14년 한 해의 순위는 이것으로 끝납니다. 몇 주 안에 빌보드 연말결산이 있을 예정입니다. 거물들이 하나둘 귀환하는 가운데 몇몇 밴드들의 반응은 초반이지만 영 신통치 않습니다. 한번 확인해 보시죠. # 10위권 이하 전체 순위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이 순위도 빌보드와 비슷하게 움직입니다.http://www.americasmusiccharts.com/ 2013년 12월 : http://econphd.tistory.com/4402014년 1월 : http://econphd.tistory.com/4602014년 2월 : http://econphd.tistory.com/4692014년 3월 : http://econphd.ti.. 더보기 척 노리스와 다론 아세모글루의 진실 # 척 노리스를 아는가? 80년대 액션영화의 대명사. 이소룡. 스티븐 시걸. 실베스터 스텔론 등등과 동류의 인물이고 내게는 국내에 방영되던 에서 뒤돌려차기 하던 모습으로 기억되는 인물. 그리고 미국식 농담으로 "척 노리스에 관련된 진실"이 있다. 아래는 원문 웹사이트와 한글 번역판을 볼 수 있는 링크. http://www.chucknorrisfacts.com/https://mirror.enha.kr/wiki/%EC%B2%99%20%EB%85%B8%EB%A6%AC%EC%8A%A4/%EC%82%AC%EC%8B%A4 # 몇 개를 소개하면 "척 노리스는 이미 화성에 다녀왔다. 생명의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이 그 증거다." "척 노리스는 말 한 마리의 턱에 돌려차기를 선사했다. 그 말의 후손을 우리는 기린이.. 더보기 김광현을 선택한 샌디에고 파드리스 소개와 팀 선발진 상황 # 포스팅 결과, 김광현 선수에게 가장 높은 값을 써낸 팀은 샌디에고 파드리스였습니다. 2백만불. 류현진 선수의 2500만불과 비교하면 분명히 높은 값은 아닙니다. 하지만 부상으로 어려운 시즌을 많이 겪었고 류현진만큼 건강한 모습을 유지하지 못했던 김광현의 모습을 생각하면 2백만불이라도 써낸 팀이 있다는 팀은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그리고 샌디에고 파드리스의 팀 성격, 선발진 상황을 생각하면, 이보다 더 좋은 상황인 팀을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 윤석민 케이스에 비한다면, 선발 경쟁은 약간 더 어렵지만, 25인 로스터에 남을 가능성은 더 높고, 구단 환경은 넘사벽으로 더 좋습니다. (위 기사 영문 내용 요약: 켄 로젠탈이 트위터에서 파드리스가 200만에 김광현 협상권을 얻었다고 보도했다. SK 와이번스는 1.. 더보기 Trade, informality, and inequality - Goldberg and Pavcnik (03/04 JDE) # The Response of the informal sector to trade liberalization - Goldberg and Pavcnik (03 JDE)# Trade Reforms and wage inequality in Colombia - Attanasio, Goldberg and Pavcnik (04 JDE) # 최근 30-40년간 국제경제학의 제일 큰 이슈는 세계화와 불평등 심화일 것이다. 세계화가 진행되었고 동시에 개도국에서는 불평등 심화가 폭넓게 일어났다는 건 이미 충분히 알려진 사실. 여기에 세계화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불평등은 어떤 양상으로 일어났는지 기존의 국제무역이론이 이것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는 10년 이상 꾸준히 논의되고 있으며 많은 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57 다음